Ttoro_Tech

[고성능 칩]_서울경제_뉴스기사('23.03.05) 본문

Tech News/국내 기업

[고성능 칩]_서울경제_뉴스기사('23.03.05)

Lee_Ttoro 2023. 3. 6. 09:48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163295?cds=news_my_20s 

 

"AI 핵심은 고성능 칩"…'실적 가뭄' 반도체업계, 챗GPT '단비'

챗GPT 돌풍으로 인공지능(AI) 주도권 경쟁이 격화하며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000660) 등 국내 반도체 업체가 혜택을 볼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AI 기계학습용 반도체 수요 확대는 자연

n.news.naver.com

ChatGPT 돌풍으로 인공지능(AI) 주도권 경쟁 격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업체가 혜택을 볼 것이라는 기대

 

AI 기계학습용 반도체 수요 확대

  • 고성능 / 고용량 메모리반도체 수요 확대로 연결
  • 특히 빠른 처리속도와 낮은 전력소비량 등으로 동일 용량 D램과 대비
  • → 부가가치가 2배가량 높은 고대역폭메모리(HBM)가 AI 서비스 고도화의 큰 축 담당 전망

박정호 SK하이닉스 부회장

"앞으로 AI시대에 일어날 기술혁신의 중심에는 항상 메모리 반도체가 있을 것"

"ChatGPT로 인한 경쟁으로 데이터센터용 고용량 D램 수요가 늘어날 것"

김재준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부사장

"자연어 기반 대화형 AI 서비스가 미래 메모리 수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 기대"

실제 AI용 대규모 데이터 학습

  • 고성능 그래픽장치(GPU)가 필요
  • GPU와 짝을 이루는 HBM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

OpenAI가 개발한 ChatGPT

  • 기계학습에는 엔비디아의 GPU 'A100'이 1만여 개 활용
  • SK하이닉스 3세대 HBM이 A100과 결합 - 연산속도를 높임

A100보다 성능이 향상된 엔비디아 GPU - 'H100'

  • SK하이닉스 HBM 중 부가가치가 보다 높은 4세대 D램이 결합됨
  • 신한투자증권에 따르면 HBM 시장 규모는 연 평균 30% 이상 커짐
  • 2030년 193억 달러 수준에 달할 것으로 추정

반도체 장비 회사

  • ChatGPT 활성화로 반사이익을 얻을 것으로 전망
  • HBM을 만들기 위해, 고도화된 장비가 필요
  • 관련 공정에 필요한 'TC 본딩장비' - 한미 반도체가 생산
  • 업체 관계자
    • HBM이 전체 D램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
    • 고도화된 AI 서비스가 확대, 고효율 반도체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
    •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한 수요 감소로 실적 악화가 현실화한 국내 반도체 기업들에 AI 반도체가 구원투수로 떠오름